반응형 호기심 왜?4 사람 뼈 개수는 몇개일까? 성인이 될 수록 줄어 드는게 맞을까? 사람의 뼈는 장기를 지키기 위해 혹은 몸을 움직이기 위해 꼭 필요한 요소로 성인과 어린아이의 수량이 다르다는 사실을 알고 있나요? 일반적으로 뼈의 개수는 206개로 알려져 있지만 사실 이는 정확하게는 사람마다 다르다고 합니다. 인간의 뼈는 평생 동안 결합되어 나이를 먹을수록 뼈의 개수가 줄어들기 때문입니다. 이번에는 뼈에 대해 간단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성인과 어린아이의 차이나는 뼈 수량 태아의 상태에서 사람의 뼈는 최대 800개까지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이들은 태아의 상태에서 서로 결합하여 태어날 때쯤에는 약 300개의 뼈를 가지게 된다고 합니다. 여기서 또 성인이 될 때까지 뼈의 개수가 줄어드는데 뼈가 빠져서 줄어드는 게 아니라 일부의 뼈가 융합되어 수량이 줄어드는 것이라고 합니다. 즉.. 호기심 왜? 2023. 1. 11. 왜? 모기에 물리면 가려운 이유 무더운 여름이 끝나고 어느새 날씨가 점점 추워지고 있습니다. 몇년 전만해도 무더운 여름이 끝나면 여름철 내내 더위와 함께 귀찮게 했던 모기가 이맘때쯤이면 없어졌는데.... 올해는 이상하게 11월인 지금 날이 추워졌는데도 모기가 많이 있습니다. 가뜩이나 피곤한 생활에 잠이 부족한데! 모기때문에 잠도 푹 못자는 요즘이네요... 비행 능력도 숨는 능력도 점점 진화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잠을 자다가도 윙~~윙~~ 거리는 소리에 겨우 일어나서 모기를 하나 잡고 다시 잠자리에 드는데 또 다른 모기가 윙~~윙~~ 귀를 멤도는 것도 있습니다. 후... 생각만 해도 짜증이 날 수 밖에 없습니다. 모기약을 뿌리고 향을 피워도... 어디서 그렇게 나오는지... 이제는 면역력이 생긴건지 잘 죽지도 않습니다. 가끔 생각이 드.. 호기심 왜? 2020. 11. 25. 동전앞면 뒷면은 어디일까? 왜 제조연도를 쓸까? 요즘에는 카드와 전자화폐의 발달로 인해 동전 혹은 지폐를 볼 일이 점점 드물어지고 있습니다. 제가 어릴적만 하더라도 집집마다 혹은 사람마다 동전돼지저금통이 있었는데 지금은 거의 볼 수 없습니다. 예전에는 그랬지만 동전은 먼가 가지고다니기 번거롭게 되어있습니다. 다 지폐로 사용하면 좋을거 같은데.. 굳이 동전을 만드는 이유는 아직 저도 잘 모르겠습니다. 아무튼 요즘에는 동전은 흔히 볼 수 있다고 하지만 또 한편으로는 흔히 볼 수 없는 물건이 되어버렸습니다. 가끔 동전 던지기를 하다보면 사람마다 앞뒤를 다르게 생각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그래서 맞추기전에 꼭 어디가 앞이고 어디를 뒤로 할지 정하던 기억이 있습니다. 사실 그림이 있는 앞면이고 연도가 써져있는 면이 뒷면이라고 합니다. 사진을 보고도 아직도 .. 호기심 왜? 2020. 11. 17. 왜? 바닷물은 왜 짤까 여름에 바다에서 놀다보면 나도 모르는 사이에 입안에서 짭짤함이 생기는 것을 느낄 수 있습니다. 그럴때마다 드는 생각인 바닷물은 왜 짤까? 아마도 한번쯤은 의문을 품은 적이 있을거라고 생각합니다. 당연히 바닷물에는 소금등을 포함한 무기염류가 들어있고 이것들이 바닷물을 짜게 만들었다는 사실을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왜 강이나 냇가에는 없는 소금이 유독 바다에만 있는지에 대한 의문이 생겼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어렸을때는 돌리면 소금이 나오는 맷돌이 바다에 빠뜨려서 계속 소금이 나와서 바닷물이 짜졌다는 이야기를 들은 기억이 있습니다. 진짜 이러한 이유때문일까요? 하지만 아쉽게도 아직 과학적으로 증명한 결론이 없기에 이에 대한 정확한 답은 현재로써는 알 수 없습니다. 몇가지 바다가 짜지는데 영향을 받았을 것이라는.. 호기심 왜? 2020. 11. 10. 이전 1 다음 반응형